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0 [리눅스] vmware NAT IP고정으로 변경하기 ls /etc/netplan - netplan안에 파일이 뭐가 있는지 확인한다. sudo cat /etc/net/plan/50-cloud-init.yaml - 50-cloud-init.yaml 파일안에 내용을 수정해야함 새로 ubuntu-server를 다운받고 설치 후 IP를 고정으로 변경 해주려함 (DHCP하면 한번씩 변경이 되기도 함)현재는 dhcp가 true가 되어 자동으로 아이피를 받아 오는 방식으로 되어있음 50-cloud-init.yaml 파일을 아래 같이 수정 후sudo netplan apply 하게 되면 MobaXterm은 끊어지게 되고 인터넷이 안되게 될꺼임VMware에서 NAT IP 수정을 해줘야함- 참고: VMware NAT IP 수정network: version: 2 ether.. 2025. 8. 24. [VMware] 인터넷 인터페이스 NAT IP대역 수정하기 기존 IP대역이 131.0/24 대역이라 리눅스 IP대역을 변경 하여MobaXterm이 끊어져서 확인 해보니 NAT가 현재 대역이랑 다르게 되어 있었음그래서 같은 동일 대역을 만들어 줘야지 됨 - 리눅스에서는 0.0/24 대역으로 고정 IP를 줌 edit -> Virtual Network Editor -> Change Settings 을 눌러 수정이 가능하게 변경 후 VMnet8 - NAT Settings 누른후 원하는 GatewayIP를 변경 해준다.Userlocal DHCP service to disrtibute IP address to VMs는 체크 해제 해주면 됨 통신 확인ifconfig로 IP변경이 잘되었는지 잘되었으면 8.8.8.8로 ping 날려 통신이 잘되는 확인 하면됨 SSH접속이 안되.. 2025. 8. 24. [minikube] kubeadmin init 오류 확인 Master와 Worker 노드를 연결 하기 위한 사전 작업 진행시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해 문제점을 찾으려 함. containerd가 runtime.v1.RuntimeService API를 지원 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류임kubeadm의 CRI 버전과 설치된 containerd 서비스 버전 호환성 문제인거 같음.일단 containerd를 재설치 할 예정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reinstall containerd 재설치 후 동일 한 오류가 나옴.. 도커가 실행이 안되면 안될 수 도 있따고 하여도커 확인을 해보니 데몬이 돌아가지 않는 상황이 발생..왜 도커가 실행이 안되는지 확인이 필요한상황.. 도커 재설치sudo apt-get install docker-ce dock.. 2025. 8. 23. [Vmware] VM 사용중인 가상머신 용량 증설 테스트를 하다가 용량이 부족해 증설을 할려고 함.현재는 20GB있는데 벌써 49%가 차버려 부족할꺼 대비해 미리 증설 할 예정임. 일단은 전원을 먼저 내린 후 Poweroff 진행한는 것이 좋다.기존에 20GB 있던걸 50GB로 증설을 후 전원을 On 함 전원 후 다시 확인 해보면 물리적으론 증설이 되었지만 논리적(OS에서의 인식)으로 증설이 안되어 디스크 크기 확장을 진행 해야함lsblk 해보면 sda에 50G로 증설 된것을 확인 할 수 있음 파티션 관리하는 명령어 growpart를 이용하여 sda3에 용량을 증설 해야 함Permisson denied가 뜨면 sudo로 진행 해줘야함growpart /dev/sda 3 - 설치가 안되어있다면sudo apt install cloud-guest-utilspv.. 2025. 8. 23.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