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0

[VMware] 인터넷 인터페이스 NAT IP대역 수정하기 기존 IP대역이 131.0/24 대역이라 리눅스 IP대역을 변경 하여MobaXterm이 끊어져서 확인 해보니 NAT가 현재 대역이랑 다르게 되어 있었음그래서 같은 동일 대역을 만들어 줘야지 됨 - 리눅스에서는 0.0/24 대역으로 고정 IP를 줌 edit -> Virtual Network Editor -> Change Settings 을 눌러 수정이 가능하게 변경 후 VMnet8 - NAT Settings 누른후 원하는 GatewayIP를 변경 해준다.Userlocal DHCP service to disrtibute IP address to VMs는 체크 해제 해주면 됨 통신 확인ifconfig로 IP변경이 잘되었는지 잘되었으면 8.8.8.8로 ping 날려 통신이 잘되는 확인 하면됨 SSH접속이 안되.. 2025. 8. 24.
[minikube] kubeadmin init 오류 확인 Master와 Worker 노드를 연결 하기 위한 사전 작업 진행시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해 문제점을 찾으려 함. containerd가 runtime.v1.RuntimeService API를 지원 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류임kubeadm의 CRI 버전과 설치된 containerd 서비스 버전 호환성 문제인거 같음.일단 containerd를 재설치 할 예정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reinstall containerd 재설치 후 동일 한 오류가 나옴.. 도커가 실행이 안되면 안될 수 도 있따고 하여도커 확인을 해보니 데몬이 돌아가지 않는 상황이 발생..왜 도커가 실행이 안되는지 확인이 필요한상황.. 도커 재설치sudo apt-get install docker-ce dock.. 2025. 8. 23.
[Vmware] VM 사용중인 가상머신 용량 증설 테스트를 하다가 용량이 부족해 증설을 할려고 함.현재는 20GB있는데 벌써 49%가 차버려 부족할꺼 대비해 미리 증설 할 예정임. 일단은 전원을 먼저 내린 후 Poweroff 진행한는 것이 좋다.기존에 20GB 있던걸 50GB로 증설을 후 전원을 On 함 전원 후 다시 확인 해보면 물리적으론 증설이 되었지만 논리적(OS에서의 인식)으로 증설이 안되어 디스크 크기 확장을 진행 해야함lsblk 해보면 sda에 50G로 증설 된것을 확인 할 수 있음 파티션 관리하는 명령어 growpart를 이용하여 sda3에 용량을 증설 해야 함Permisson denied가 뜨면 sudo로 진행 해줘야함growpart /dev/sda 3 - 설치가 안되어있다면sudo apt install cloud-guest-utilspv.. 2025. 8. 23.
[minikube] Service 란 무엇인가(ClusterIP)? 쿠버네티스(Kubernetes)에서 Service는 파드(Pod) 집합의 네트워크 접근지점을 추상화해주는 리소스입니다. 이를 통해 파드의 동적 생성·종료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접속 위치를 제공하며, 로드밸런싱을 통해 트래픽을 분산시켜 줍니다. 아래는 블로그에 쓸 수 있도록 내용 요약입니다. 쿠버네티스 Service란? - 파드 집합에 고정된 네트워크 엔드포인트를 제공하는 객체 (파드가 생성·삭제되어도 일관된 IP, DNS로 접근 가능, Pod는 재실행시 동적 IP로 인해 IP가 변경 될 가능 성이 있음.) - 서비스 셀렉터(Selector)로 연관된 파드 집합의 트래픽을 자동 분배 - 서비스 타입(Service Type)이 다양하여 사용 목적별 구성 가능. - 같은 pod의 컨테이너는 localh.. 2025. 8. 23.
[minikube]Pod, Replicaset, Deployment 실습 하기 1. Pod 생성 및 관리단일 Pod 생성 nginx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Pod을 생성하는 yaml 파일을 작성하고, 이를 적용하기Pod의 이름은 nginx-pod로 설정생선된 Pod의 상태 확인Pod 내부로 접속하여 /usr/share/nginx/html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 확인Pod 삭제2. ReplicaSet 생성ReplicaSet 생성 nginx 이미지를 사용하는 ReplicaSet을 생성ReplicaSet의 이름을 nginx-replicaset으로 설정Replica 수는 3개로 설정yaml 파일을 작성하여 적용후 생선된 Pod 상태확인Replica 수 조정 nginx-replicaset의 replica수를 5개로 변경새로 생성된 Pod이 있는지 확인ReplicaSet 삭제 ReplicaSet.. 2025. 8. 14.
[minikube] 레플리카셋(replicaset)과 디플로이먼트(Deployment) (2) Replicaset은 Pod 복제와 복구에는 적합하지만업데이트와 롤백같은 기능은 없음 Deployment는 Resplicaset을 관리하며, 애플리케이션 배포, 업데이트, 롤백등 고급 기능을 제공롤링업데이트 : 새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을 무중단으로 배포롤백: 문제가 생긴 경우 이전 상태로 되돌림스케이링: Replicaset을 확장하거나 축소 (1) apiVersionapps/v1Deployment, ReplicaSet 등이 속한 API 그룹과 버전입니다.(2) kindDeployment생성할 Kubernetes 리소스 종류.Pod를 직접 만들지 않고, 내부적으로 ReplicaSet을 생성·관리하여 Pod 개수를 유지하고 롤링 업데이트를 지원합니다. (3) metadataname: feel-deployment.. 2025. 8. 13.
[minikube] 레플리카셋(replicaset)과 디플로이먼트(Deployment) (1) 기존 Pod는 임시적인 리소스로 단일 인스턴스로 실행하는데의 초점이 맞춰짐 (자동복구x) - 스스로 관리를 하지 않음 - 고유한 식별자를 가짐 - 내구성 보장이 안됨 - 짧은 수명을 가지도록 설계 Pod를 관리하기 위해서 레플리카셋(Replicaset) 과 디플로이먼트(Deployment가 있음 Replicaset이란 무엇인가? - Pod의 복제본 관리를 하고 장애 발생 시 자동 복구를 함동일한 Pod을 원하느 수 만큼 실행 Pod이 삭제 되거나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자동으로 새 Pod을 생성함Pod 복제와 복구는 적합하지만 업데이트와 롤백 같은 기능은 없음vi rs.yaml - vi를 통해 rs.yaml을 만들어 아래 양식을 작성한다. apiVersion: apps/v1kind: ReplicaSet.. 2025. 8. 12.
[minikube] 쿠버네티스에서 왜 Pod 단위로 관리할까? 쿠버네티스(Kubernetes)에서는 컨테이너를 직접 하나씩 배포하는 대신, Pod(파드)라는 최소 단위로 묶어서 운영 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곧바로 컨테이너 안에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파드 안에 컨테이너가 포함되는 형태로 생성즉, 쿠버네티스 입장에서 컨테이너를 직접 다루는 것이 아니라, 파드라는 "그릇"을 통해서 컨테이너를 관리하게 됩니다. - 파드에 속하는 모든 컨테이너는 동일한 IP와 포트 공간을 사용 그래서 서로 다른 컨테이너라도 localhost를 통해 쉽게 통신가능 - 파드 내부에서는 볼륨(volume)을 공유할 수 있으므로, 같은 디렉터리나 파일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 자주 사용하면 명령어 run, get, logs, port-forward 이미지 받.. 2025. 8. 11.
[minikube] kubectl 자동완성 기능 Kubectl 자동 완성 기능 (kubectl 치트 시트) 설정https://kubernetes.io/ko/docs/reference/kubectl/cheatsheet/ kubectl 치트 시트이 페이지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kubectl 커맨드와 플래그에 대한 목록을 포함한다. Kubectl 자동 완성 BASH source kubernetes.io 쿠버네티스 설치 후 사용 하는 명령어가 안보인느 경우가 많아 찾아보니 kubectl 치트 시트라는 문서를 발견 후 적용 해보았다.시트 적용 전 tab을 누르면 디렉토리및 파일만 표기 되어 kubectl에 관한 커맨드와 플래그에 대한 목록이 안보임. alias로 kubectl이 길어 k로 변경 후 tab을 누르면 커맨드와 플래그 목록이 보임source > ~/.. 2025. 8. 11.
반응형